top of page

2월 맨해튼 임대료 5200달러에 육박



<앵커> ‘렌트의 도시’ 뉴욕의 월세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약 60~70%가 월세살이를 하는 뉴욕시의 특성상 높아지는 월세는 시민들의 삶과 직결되는데요, 중심에 살던 사람들은 외곽으로 밀려나가고, 렌트를 감당하지 못해 룸메이트를 구하는 뉴요커들도 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손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욕의 중심부인 맨해튼의 지난달(2월) 주택 임대료가 5천186 달러로 눈에 띄게 상승했습니다. 1베드룸의 경우 3천 달러에서 5천 달러 사이의 가격을 나타냈습니다. 뉴욕시 전체 월평균 임대료는 2,141달러를 나타냈습니다. 부동산 전문업체 더글러스 엘리먼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맨해튼의 평균 임대료는 거의 5200달러에 육박해 1월보다 약 1%올랐고, 전년 동월의 4,043달러 대비 10.7%상승했습니다. 맨해튼의 중간 임대료가 5천달러를 웃돈 것은 2월 기록으로는 사상 최고치입니다. 그 중에서도 침실이 3개 이상인 대형 아파트 수요가 많았습니다. 2베드 이하인 중소형 아파트의 평균 임대료는 1년 전보다 5~6%오른 반면, 대형 아파트는 월평균 9,592달러로 13% 상승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첼시와 플랫아이언 지역이 6,904달러로 10% 상승했고, 트라이베카 지역은 5% 상승해 한달 평균 1만115달러로 맨해튼 내에서도 가장 비싼 지역이라는 명성을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중개인들은 뉴욕시에서 당분간은 이 같은 렌트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집주인이 집세를 너무 많이 올리지 않는다면 지금은 이주를 하지 말고 그대로 있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월세 상승이 코비드19과 인플레이션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기업들이 비대면에서 사무실 출근으로 업무 형태를 바꾸면서 도심 주택수요가 급증하며 월세도 폭등하기 시작한 겁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올리자 예비 주택 구매자들이 월세 대열에 합류하며 렌트 수요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물가 상승으로 건물 관리비도 상승하자 집주인들이 이 같은 비용 증가를 세입자에게 전가한 영향도 있습니다. 수요는 넘치는데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맨해튼뿐 아니라 브루클린이나 퀸즈 같은 뉴욕 다른 지역 아파트 렌트도 급등세입니다. 브루클린과 퀸즈 북서부도 2월 기준 임대료 중간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브루클린은 지난해 2월 대비 17% 상승했습니다. K-라디오 손윤정입니다.

news@am1660.com


AM1660 K-라디오의 기사와 사진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COPYRIGHT ⓒ AM1660 K-Radio ALL RIGHT RESERVED

Recent Posts

See All

<앵커> 데이빗 뱅크스 뉴욕시 교육감이 오늘 브리핑을 통해, 뉴욕시 내 K-12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HIV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뉴욕시에서 HIV감염을 진단받은 사람 가운데 37%가 13세에서 20대 청소년 및 청년이었다며, 이들을 교육하고 가르쳐야 잠재적인 감염위험으로 부터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도에 이하예

<앵커> 뉴욕주가 9월10일 세계 자살 예방의 달, 그리고 10월 10일 세계 정신건강의 달을 맞아 뉴욕주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을 위해 각부처와 협력해 무료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캐시호컬 뉴욕주지사는 오늘 브리핑을 통해, 청소년기의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평생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다며, 우리는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지원해야할 의무가 있

<앵커>폭발적 망명신청자 유입으로 인해 뉴욕시의 무료 성인 영어 강좌에 대한 수요도 급증했습니다. 사회보장번호나 별도의 서류 없이도 무료로 이용 가능한 수업을 거주지 근처 학교나 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유지연 기자가 전합니다. 지난해부터 10만 명 이상의 이민자가 뉴욕시에 도착하면서 무료 영어 수업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전 세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