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뉴욕주, 우크라이나 난민 재정착 위한 연방자금 지원받아



<앵커> 뉴욕주가 러시아의 침공으로 고국을 떠나야 했던 우크라이나 난민들의 재정착을 돕기 위해, 연방정부로부터 2,14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습니다. 현재 연방정부 프로그램을 통해 뉴욕에 거주하는 난민은 약 1만 4천명으로, 호컬 주지사는 이들에 대한 지지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이 소식 김유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뉴욕주가 러시아 침공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야 했던 우크라이나 난민 재정착을 돕기 위해 연방정부로부터 2,140만 달러를 지원받습니다. 캐시호컬 주지사는 15일 이같이 발표하면서, 이 연방자금을 뉴욕의 17개 난민 서비스 제공업체에 전달하고 뉴욕에 거주하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일시적 정착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호컬 주지사는 "러시아의 지속적이고 부당한 폭력으로 인해, 고국을 떠나야 했던 이들을 환영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며 뉴욕은 미국에서 가장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의 고향으로, 이들에 대한 지지에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올해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약 7만 5천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미국으로 건너왔습니다. 이 중 연방정부의 프로그램을 통해 뉴욕에 거주하는 난민은 약 1만 4천명으로 추산됩니다. 연방정부의 이 프로그램은 난민들 및 그들의 가족이 최대 2년간 미국에 머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했으며, 고용지원, 기술교육,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주택 및 음식 등을 지원합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미국에 체류하는 동안 재정적 지원을 제공해줄 후원자가 있어야 합니다.



임시장애지원국의 다니엘 티에츠 국장은 "뉴욕은 오랫동안 박해를 피해 떠나온, 전 세계에서 전쟁으로 추방된 이들에게 희망의 등불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이 자금은 우크라이나에서 뉴욕으로 도착한 이들이 안전과 안정을 찾는 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자금을 지원받는 단체 역시 수년간 난민 및 이민자들을 새로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성공적으로 도운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호컬 주지사는 올해 초, 주 기관 및 당국에 대해 러시아에서 사업을 지속하는 기업과의 계약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주지사는 지난 2월 모든 국가기관과 당국에 러시아로부터 공적자금을 회수하고 러시아 기업과의 거래를 중단하라고 지시했으며, 3월 초에는 추가적인 블록체인 분석 기술의 조달을 포함해 러시아 제재에 대한 금융서비스국의 조치를 강화했습니다.



K-radio 김유리입니다.


news@am1660.com

AM1660 K-라디오의 기사와 사진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COPYRIGHT ⓒ AM1660 K-Radio ALL RIGHT RESERVED

Recent Posts

See All

<앵커> 어제 텍사스 내슈빌 총격사건 보도해 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총이 아닌 칼부림 사건이 롱아일랜드 중학교에서 발생했습니다. 학교 내 복도에서 발생한 이번 사건으로 13세 남학생이 구급용 헬기에 실려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보도에 이하예 기자 입니다. 미국 내에서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은 최근 자녀를 학교 등교시키기가 두렵다고 말합니다. 텍사스 유발디 초등

<앵커> 뉴욕시 퀸즈에 이번주 처음으로, 합법적인 마리화나 판매소가 문을 열 것으로 예상됩니다. 퀸즈 자메이카에 들어설 마리화나 판매소는, 뉴욕주 최초로 여성이 소유한 매장으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이하예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욕주 최초로 여성이 소유한 합법적인 마리화나 판매소가, 이번주 퀸즈에 문을 열 예정입니다. 캐시호컬 주지사는 27일 성명을 통해, 며

bottom of page